ChatGPT Search 공개
미국 현지시간 10월 31일, ChatGPT search가 공개되었습니다. 이제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질문할 수 있으며, 실제 검색처럼 더 다양한 시각화도구와 함께 결과가 제공됩니다.
왜 웹에서 검색을 해와야 하는건가요?
이미 많은 분들이 이유를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ChatGPT는 학습이 진행되는 시점의 데이터까지만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날씨나 최근 생긴 식당에 대해 물어볼 경우, 학습을 한적이 없기 때문에 제대로된 답변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가끔은 "그럴듯한" 답변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혼동을 주게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웹에서 검색하듯이 정보를 가져와 GPT에게 해당 자료를 바탕으로 답변하도록 지시하여 더 나은 품질의 답변을 얻어내는 것입니다.
웹검색 기반 질의는 원래도 되던거 아닌가요?
그렇습니다. 원래도 웹 기반으로 질의가 가능했었습니다. 그러나, 기존 웹 검색은 ChatGPT가 검색 여부를 판단했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날씨를 물어보는 질문에 대해서는 웹 검색을 하고, 코딩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서는 검색 없이 생성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검색 옵션을 키게 되면 무조건 웹을 기반으로 검색합니다. 이제 GPT에게 물어보면 공식 도큐먼트를 바탕으로 응답을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 시각화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함께 보시면 좋습니다. 기존에 지원하는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보여주면 좋을 부분도 모두 글로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텍스트 생성 모델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ChatGPT search에서는 날씨, 주식, 뉴스, 지도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게되고,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
지도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기능이 특히 신기해서 여러 프롬프트로 시도해보았습니다. 그러자 특이한 점을 발견했는데, 아래 사진과 같이 "금문교 근처 베이글 가게"에 대해 물어보면 지도와 함께 베이글 가게들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똑같은 질문으로 "더현대 근처 베이글 가게"에 대해 물어보니, 기존 답변 방식과 유사하게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다른 질문들도 비슷했는데, 이를 통해 아직 한국에서는 지도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그 외에도 주식이나 스포츠에 대해서 여럿 물어봤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이라 그런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 결과를 얻기 힘들었습니다.


추후 불러올 영향력
정확히 산업의 변화에 대해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더욱 기능이 발전한다면 짧은 기간에는 Perplexity와 같은 검색기반 답변생성 서비스들이 위협을 받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구글 검색이 위협을 받을 것 같습니다. 저는 코딩할 때 주변분들에게 "AI 코딩 도구 Cursor"를 적극 사용을 장려하고 하고 있습니다. 실제 제 팀원분께서는 Cursor 사용 이후 생산성이 향상되고, 구글 검색량이 줄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과거보다 답변 품질이 좋아졌을 뿐 아니라, 구글을 검색하며 실제 되는지 안되는지 여러번 시도를 해봐야하는 것과 달리 단한번의 질문으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큰 매력입니다.
이제 ChatGPT search가 등장하였고, 실제 도큐먼트를 바탕으로 답변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으니, 사람이 직접 구글을 검색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정리하고 해석하여 높은 수준의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 Plus, Team 유저는 바로 사용해보실 수 있으며, Enterprise는 다음주, 일반 유저는 다음달부터 사용이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저희 회사 GPT 계정으로 여러 프롬프트를 실험한 결과를 두었습니다. 이를 한번 확인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